인공지능 기술동향과 미래전망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대한 기술동향과 주요 이슈를 알아보고, 미래 시장에 대한 전망을 살펴봅니다.
김명신
NHN Cloud CTO
오픈스택과 클라우드 생태계 성장 전략 NHN Cloud는 OpenStack 이라는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클라우드서비스를 개발하여, 전세계에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NHN Cloud가 오픈소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으며, 오픈소스 생태계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기업이 오픈소스를 성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어떤 전략과 지침을 갖추어야 하는지를 실사례를 통해 전합니다.
공용준
카카오 이사
오픈소스와 산업간 상호작용의 미래와 대응 인더스트리와 오픈소스의 상호작용의 변화와 미래 그리고 그에 대한 대응책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김홍연
ETRI 디지털중심네트워크연구실 책임연구원
거대 인공지능 모델을 위한 고효율 컴퓨팅 인프라 BERT, GPT3와 같은 거대 AI 모델을 학습하고 추론하기위해 필수적인 고성능 AI 컴퓨팅 인프라 및 관련 기술을 살펴보고 기술적 챌린지를 소개합니다.
유용균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원자력연구원의 인공지능 적용사례 및 오픈소스 활용 원자력연구원에서 진행 중인 원자력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연구 사례와 오픈소스의 활용사례들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나경석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원
화학 데이터 인공지능을 위한 Multimodal Learning 라이브러리 및 ChemAI 한국화학연구원 화학데이터기반연구센터에서는 화학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인공지능 방법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센터에서 연구한 인공지능 방법론을 multimodal learning의 관점에서 일반화하기 위한 연구와 이를 파이썬 라이브러리 및 ChemAI 플랫폼 형태의 공공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합니다.
황인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이동체사업단 팀장
무인이동체 설계해석 소프트웨어 개발 및 성능시험 자율지능 협업 무인이동체 통합설계 플랫폼, 최적설계 소프트웨어 모듈 개발 현황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무인기 개발 및 비행성능시험에 대해 소개합니다.
송종철
IITP 팀장
공개SW R&D 과제 현황 및 지원 방안 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서 추진하는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중 공개SW과제 현황과 실적에 대해 발표합니다. 공개SW 관련 R&D 규정과 공개SW 가이드라인 활용에 대해 발표합니다.
박수명
ETRI 오픈소스센터 책임연구원
출연연 오픈소스 R&D 전략 본 발표는 정부출연연구기관 관점에서 오픈소스를 활용한 개방형 혁신 위한 요구사항 도출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R&D 활동 지원을 위한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대응 전략, 협업 개발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전략, 오픈소스 커뮤니티 대응 전략 등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 관점에서 오픈소스 R&D 수행 시 적용 가능한 모델 및 전략을 제시합니다.
권영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글로벌 오픈소스 생태계 동향 글로벌 오픈소스 생태계 급성장의 배경은 오픈소스 생태계의 상업화로 인한 글로벌 기업의 참여 확대 때입니다. 본 발표에서는 급성장하는 오픈소스 생태계의 주요 현황(활용 현황, 주요 기업, 깃허브 동향, 주요 오픈소스 재단, 등)과 변화하는 오픈소스 생태계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OpenChain, Todo 그룹, 보안 대응, 등)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민한식
대전산업정보고등학교 교장
SW교육을 위한 피지컬코딩교육용 에듀메이커보드 에듀메이커보드는 아두이노 우노 보드위에 적층하여 쉴드 형태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아두이노가 갖고 있는 피지컬 컴퓨팅을 위해 복잡하고 세밀한 회로구성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어려움을 많이 해소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자칫 따라하기 식으로 진행될 수 있었던 아두이노를 직관적 통찰을 통해 지속적으로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설계할 수 있었습니다.
학교에서 실질적인 소프트웨어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SW수업 시수를 조금 더 확보하고, 교원 전문성 함양을 더욱 더 강화해야하며, 교사들이 수업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교재 및 콘텐츠 공유를 위해 에듀메이커보드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딥러닝 공개 모델 활용 정보 수집 효율화
IT 분야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발전되고 있는 AI 기술을 연구 분야에 적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자연어 요약과 키워드 추출, 번역 기술을 연구 동향 분석에 적용한 사례를 발표합니다.
많은 이들이 파이토치와 같은 공개 라이브러리가 활발히 사용되고 있지만 딥 러닝 등 인공 지능 모델은 직접 만들거나 적어도 공개 모델을 내려받아 실행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는 믿음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본 발표에서는 자체 데이터 분석과 함께 공개 API (open API) 형태로 제공되는 딥 러닝 모델을 사용해 해외 연구 기관의 동향을 분석한 사례를 공유합니다
조성수
NHN Cloud
오픈스택으로 알아보는 글로벌 커뮤니티의 개발 문화
글로벌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어떻게 개발될까요? 어떤 개발 문화를 가지고 있을까요?
오픈스택은 수 천명의 전 세계 개발자가 같이 만들고있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
이 궁금증을 오픈스택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태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Cloud Software Engineer
리눅스 커널 오픈소스와 kakao icloud 2015년부터 리눅스 커널 네트워킹 스택에 컨트리뷰션을 해오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약 2년간은 OpenUp 풀타임으로, 2020년부터는 클라우드 개발자로 활동하면서 컨트리뷰션을 해오고 있습니다.
이 기간동안에 있었던 일들과 느낌점을 공유합니다.
신정규
래블업 대표
자동화와 함께하는 오픈소스 오픈소스 코드베이스가 커지고 기여자가 많아질수록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일들이 늘어납니다.
피로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꼭 하지 않아도 되는 일들은 도구에게 맡기는 것이 좋습니다.
오픈소스 코드 저장소 관리 및 코드 검수, 개발 환경 설정 및 기여 절차 제공을 자동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Backend.AI의 GitHub 운영 사례와 함께 알아봅니다.
조창식
ETRI 차세대시스템SW연구실 실장
TANGO, 신경망 자동생성 통합개발 프레임워크
인공지능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를 위해 No Code 기반으로 타겟 적응형 신경망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자동으로 배포하는 통합개발 프레임워크 TANGO(Target Adaptive No-code neural network Generation and Operation framework)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소개한다.
함명주
삼성전자 Master (Tech VP)
리눅스재단 오픈소스 On-Device AI 프레임워크 개발, 제품화 그리고 공개 협업
1인 단독 과제로 시작하여 여러 회사가 함께 개발하고 사용하는 리눅스 재단 오픈소스 SW가 된 NNStreamer 및 NNTrainer, 그리고 삼성전자 오픈소스 개발자로서의 활동에 대해 소개합니다.
NNStreamer는 다양한 전자기기 간 혹은 기기 내 인공지능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Pipeline Framework이며, NNTrainer는 인공지능 개인화를 위한 기기 내 추가 학습 Framework이며,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김동균
KISTI 책임연구원
오픈소스 기반의 과학기술연구망 구축 및 기술개발/활용
KISTI의 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은 네트워크 소프트웨어화(Network Softwarization)를 위해 오픈소스 SDN 제어 소프트웨어인 ONOS를 이용하여 국내외 SDN 광역망 인프라를 구축하고 가상전용망 기반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개발을 수행함으로써 시범 서비스 및 기술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으므로,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문성태
한국기술교육대 교수
오픈소스 기반의 비행제어컴퓨터 소개 및 발전 방향
항공/우주 분야에도 오픈소스 바람이 불면서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이 접목되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드론 분야에서 불고 있는 대표적인 오픈소스 기반의 비행제어컴퓨터 시스템인 PX4에 대한 소개와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송태웅
(주)리눅스긱 / 리얼리눅스 CEO
첫 컨트리뷰션을 위한 오픈소스 개발참여 실습
1. 오픈소스 프로젝트 개발참여과정 사례소개 (예: Node.js, Pytorch, Storybook 등)
2. 첫 컨트리뷰션을 위한 오픈소스 개발참여 방법소개와 실습